선물솔루션

해외선물솔루션 업체 선택 시 주의할 점 (체크리스트·계약 가이드)

2025.11.05 · 선물솔루션

요약: 해외선물솔루션은 속도·안정성보안·거버넌스가 생명입니다. 그래서 업체 선택 시에는 화면 기능보다 지연(p95/p99), SLA 가동률, 보안·로그 체계, 데이터 소유권을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 본 문서는 12개 필수 검토 항목데모 테스트 체크리스트, 계약서 핵심 조항, 경고 신호를 정리했습니다.

1) 선정 프레임워크 — 4가지 질문

  1. 목표: 체결 속도·리스크 관리·자동매매·브랜딩 중 무엇이 1순위인가?
  2. 규모: 동시 접속/주문 TPS(초당 주문), 성장 예측치는?
  3. 규제: KYC/AML/로그보존 등 지역 요건을 충족하는가?
  4. 타임라인: 론칭 마감까지 남은 기간·파일럿 필요 여부는?

2) 필수 검토 항목 12

  1. SLA/성능 지표: 가동률(예: 99.9%+), 지연 p95/p99, RTO/RPO, 배포 창구·패치 주기.
  2. OMS/리스크 엔진: 주문 유효성, 레이트리밋, 일괄취소, 마진/레버리지 가드, 서킷브레이커 지원.
  3. 시세 데이터 품질: 멀티 피드 소스, 레벨1/2 지원, 재연결/드롭 탐지, 타임스탬프 표준화.
  4. 체결/지연 테스트: 급변 구간에서 슬리피지·거부율·재시도 정책 공개.
  5. 보안: TLS1.2+, 2FA, WAF/DDoS, 비밀관리(KMS), 취약점 점검 보고서.
  6. 감사/로그: 불변 로그, 관리자 액션 추적, 알림·감사 리포트, 보존 기간.
  7. 백오피스: 권한(RBAC), 정산/수수료, 리포트, 고객·티켓 시스템 연동.
  8. 업데이트·지원: 핫픽스/정기 업데이트 절차, 응답·복구 시간, 온콜 체계.
  9. 커스터마이즈 범위: UI/전략 훅, API/웹훅, 지표·전략 모듈화 가능 여부.
  10. 데이터 소유권: 계정/거래/로그·백업의 소유·반환·삭제 정책, 종료 시 인계.
  11. 가격/라이선스: 사용자/거래량/모듈별 과금, 초과 사용 페널티, 숨은 비용(시세·인프라).
  12. 레퍼런스/사고 이력: 운영 연차, 최근 장애 공지, 고객사 사례·추천서.

3) 데모 테스트 체크리스트(필드 시나리오)

  • 체결 경로: 시장 급변(뉴스/세션 오픈)에서 p95 지연·거부 사유 로그 확인.
  • 리스크 가드: 가격 이탈·수량 초과·일중 손실 한도 트리거 시 UX 피드백.
  • 복구 시나리오: 네트워크 단절/재연결·게이트웨이 장애 시 재동기화.
  • 자동매매 훅: 백테스트→페이퍼→실거래 전환 플로우, 롤백 절차.
  • 백오피스: 정산/수수료 변경, 권한 상승 요청·감사로그 기록 확인.
  • 알림: 체결/청산/마진콜·장애 알림의 지연과 안정성.

4) 계약서 핵심 조항 — 반드시 문서화

  • SLA: 가동률, 지연 기준(p95/99), 응답·복구 시간, 미달 시 크레딧/환불 규정.
  • 보안: 취약점 스캔 주기, 계정·키 관리, 데이터 암호화, 서브프로세서 공개.
  • 데이터 권리: 소유권·반환 포맷, 백업·보존·삭제 기한, 종료 시 인계 의무.
  • 변경/배포: 무중단 배포 원칙, 사전 공지, 롤백 절차.
  • 준수: KYC/AML/로그보존 요구 사항·감사 대응 지원.

5) 리스크 경고 신호(피해야 할 패턴)

  • 장애·지연 수치를 공개하지 않음 또는 지표 정의가 모호함.
  • 데이터 소유권·반환 조항이 부재, 계약 종료 시 로그 제공 불가.
  • 보안 인증·취약점 리포트가 없거나 오래됨, 2FA 미지원.
  • 데모가 스테이징 전용으로 실제 체결 경로와 다름.
  • 유지보수·업데이트가 공급사 재량, 일정·절차 미기재.

6) 선택 가이드 — 임대/SaaS·분양/라이선스·제작/커스텀

모델 장점 유의점 적합 사례
임대(SaaS) 빠른 론칭, 낮은 초기비용, 운영 부담↓ 커스텀 한계, 사용량 과금 시장 검증·단기 마감
분양(라이선스) 기능 확장성, 모듈 수정 가능 초기 라이선스 비용, 업데이트 협의 중기 확장·브랜드화
제작(커스텀) 최대 통제·차별화, 장기 TCO 유리(규모↑) 초기 투입·DevOps 필요 전략·보안 요건 복잡

7) 실무 팁 — 빠른 예비진단(5분)

  1. 장애 공지·업데이트 로그 URL을 요청해 실제 빈도·내용 확인.
  2. 데모에서 마진콜·강제청산 경고 UX를 재현.
  3. 관리자 권한 상승·감사로그 추적이 남는지 확인.
  4. API 레이트리밋·쿼터 문서 유무, 에러 코드 정의 일치 여부 점검.
  5. 종료 시 데이터 반환 포맷(예: Parquet/CSV)과 기한을 명문화.

FAQ

최우선으로 볼 지표는?
지연(p95/99)SLA 가동률, 그리고 장애 공지 투명성입니다. 체결·리스크 가드가 안정적으로 동작하는지 로그로 확인하세요.
보안 인증이 꼭 필요한가요?
의무는 아니어도 정기 취약점 점검 리포트, 2FA·WAF·DDoS·KMS 등 구체 조치가 문서화되어야 합니다.
임대에서 분양/제작으로 전환 가능한가요?
가능하지만 데이터 이전·API 호환, UI 자산 권리 등 전환 조건을 계약에 사전 명시하세요.

관련 주제

※ 본 글은 공급사 비교를 위한 일반 가이드입니다. 실제 계약·규제 준수는 귀 조직의 법무/보안 정책과 협의해 확정하세요.

해외선물솔루션업체선정SLA보안HTSMTSOMS백오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