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물솔루션

임대(SaaS) vs 분양(라이선스) vs 제작(커스텀): TCO 비교표(12개월/36개월)

2025.07.15 · 선물솔루션

요약: 빠른 출시와 초기 현금흐름은 임대(SaaS)가 유리하고, 커스터마이즈/자산화는 제작이 강점입니다. 분양(라이선스)은 속도와 통제권의 균형형입니다. 아래 TCO 표는 중간 규모 가정(활성 동시 사용자 500, 월간 활성 5,000 기준)으로 작성한 비교 예시이며, 실제 견적은 요구사항·규제·트래픽·SLA에 따라 달라집니다.

1) 비용 항목 정의

  • 초기 구축: 세팅/커스텀/설계/교육/온보딩
  • 구독/유지: 월 사용료, 패치/업데이트, 헬프데스크
  • 인프라: 클라우드, CDN, 모니터링, 백업
  • 보안/규정: WAF/DDoS, 취약점 점검, 로그 보존, KYC/AML 도구
  • 인력: 운영/개발/보안(파트타임 합산)
  • 기타: 인증/심사, 컨설팅, 사고/장애 대응 비용

2) 가정값(예시)

세부 가정: 가동률 99.9%, 월 릴리즈 1회, 보안 점검 분기 1회, SLA 기본. 단위: KRW(백만원 단위 표기).

3) 12개월 TCO 비교(예시)

항목 임대(SaaS) 분양(라이선스) 제작(커스텀)
초기 구축 10 40 120
구독/유지(연) 60 (월5) 24 (월2) 36 (월3)
인프라(연) 18 (월1.5) 24 (월2) 36 (월3)
보안/규정(연) 12 18 24
인력(연) 24 36 72
합계(12M) 124 142 288

4) 36개월 TCO 비교(예시)

항목 임대(SaaS) 분양(라이선스) 제작(커스텀)
초기 구축(1회) 10 40 120
구독/유지(36M) 180 (월5×36) 72 (월2×36) 108 (월3×36)
인프라(36M) 54 (1.5×36) 72 (2×36) 108 (3×36)
보안/규정(36M) 36 54 72
인력(36M) 72 108 216
합계(36M) 352 346 624

36개월 관점에서는 분양/제작이 상대적으로 유리해지나, 운영·보안·인력 역량을 내부에서 갖출 수 있어야 합니다.

5) 선택 가이드(요약)

  • 임대(SaaS): 출시마감 임박, 초기 현금흐름 중시, 내부 DevOps 역량 제한
  • 분양(라이선스): 커스텀+속도 균형, 장기 운영 계획, 내부/공급사 협업 운영
  • 제작(커스텀): 차별화가 핵심, 내부 기술 인력 보유, 기능 로드맵을 주도하고 싶을 때

6) 숨은 비용 체크리스트

  • 가용성 목표 상향(99.95%→99.99%)에 따른 이중화/모니터링 비용
  • KYC/AML, 로그 보존, 취약점 심사 등 규제 대응 비용
  • 데이터 마이그레이션/탈출 비용(벤더 락인 해소 계획 포함)
  • 대형 이벤트/트래픽 급증 시 버스트 비용
  • 브랜딩·콘텐츠 제작, 다국어/현지화

7) ROI/리스크 관점 의사결정

  1. 시장 적합성 검증(0~12M): 임대로 MVP→리드/매출 지표 확인
  2. 확장 단계(12~24M): 분양으로 커스텀 확대 또는 임대 유지
  3. 차별화 단계(24~36M): 제작으로 전환하거나 하이브리드(핵심만 자체개발)

FAQ

우리 규모에서 가장 흔한 선택은?
임대로 빠르게 진입→12개월 후 분양/제작으로 전환하는 단계적 접근이 일반적입니다.
36개월에서 임대가 더 비싼가요?
사용량/요구 SLA에 따라 달라집니다. 월 사용료가 높은 대신 운영 리스크가 낮습니다.
분양과 제작의 가장 큰 차이는?
분양은 모듈 커스텀 중심(공급사 업데이트 수용), 제작은 설계/소스 통제권을 전제로 합니다.

CTA

귀사 상황에 맞춘 TCO 시뮬레이션이 필요하시면 문의로 사용자 수·SLA·기능 범위를 알려주세요. 12/36개월 맞춤 표전환 로드맵을 제공해 드립니다.

※ 본 문서는 참고용 예시입니다. 실제 견적/계약은 요구사항 정의서와 보안/규제 요건을 바탕으로 확정하세요.

임대분양제작TCO비용 비교SLAR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