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MS가 뭔가요? 주문/체결 시스템의 핵심 개념과 체크리스트
요약: OMS(Order Management System)는 트레이더가 발행한 주문을 검증하고, 전달/재시도하며, 체결/거부 결과를 일관된 상태로 기록하는 거래 시스템의 심장입니다. 해외선물/코인선물/파생상품 등 어떤 자산이든, 안정적인 OMS 없이는 확장과 신뢰가 불가능합니다.
1) OMS 정의와 역할
- 정의: 주문의 수명주기(생성→검증→전송→체결→정산)를 관리하는 미들웨어/백엔드.
- 핵심 임무: 유효성 검사, 리스크 훅, 라우팅, 재시도/타임아웃, 일괄취소, 체결/거부 이벤트 브로킹, 감사로그.
- 연동: HTS/MTS/WTS(클라이언트) ↔ OMS/게이트웨이 ↔ 거래소/브로커 FIX/WS API.
2) 아키텍처 한눈에
- 인바운드 게이트: REST/WS/FIX 수신, 인증/레이트리밋, 요청 표준화.
- 검증 레이어: 종목/시장 상태, 주문형태, 수량/가격 경계, 세션 상태.
- 리스크 훅: 마진/레버리지, 최대 수량, 계정/전략 한도, Fat-finger 방지, 가격 괴리 보호.
- 라우팅/중계: 다중 브로커/거래소 라우팅, 지연 측정, 실패시 백업 라인 자동 스위치.
- 체결 이벤트: 부분/전체 체결, 거부/취소, 잔량 관리, 중복 방지 아이디엠포턴스.
- 감사/운영: 불변 로그(Write-ahead), 모니터링 대시보드(p95/p99), 알림/온콜.
3) OMS vs EMS vs 리스크 엔진
| 구성 | 주요 역할 | 비고 |
|---|---|---|
| OMS | 주문 수명주기/상태관리, 재시도, 라우팅, 감사로그 | 시스템의 진실 소스(source of truth) |
| EMS | 주문 집행 전략(TWAP/VWAP/스플릿), 마켓 임팩트 최소화 | OMS 위에서 동작하는 실행 전략 |
| 리스크 | 한도, 마진, 강제청산, 가격 급변 보호 | OMS 전·중간 훅으로 통합 |
4) 성능 지표(권장 목표)
- 주문 수락 지연(ingress→ack): p95 < 80ms, p99 < 120ms
- 아이들 타임아웃/재시도: 브로커 응답 지연 시 선형/지수 백오프, 최대 재시도/일괄취소 정책
- 내고장성: 단일 컴포넌트 장애 시 Zero data loss 보장(큐/저널링)
5) 데이터 일관성
- 아이디엠포턴스 키: 클라이언트 주문ID + 타임스탬프 → 중복 전송 방지
- 원자적 상태 전이: New → PartiallyFilled → Filled/Rejected → Settled
- 이벤트 소싱: 주문/체결 이벤트를 불변 스트림으로 저장, 재구성 가능
6) 연결 프로토콜/FIX 체크
- FIX/WS/REST 세션 복구, 하트비트, 시퀀스 리셋/리커버리
- 타임 싱크: NTP/PTP 기준, 서버/클라이언트 시계 드리프트 모니터링
- 포맷 표준화: 가격/수량 스텝, 틱사이즈, 타임인포스(TIF) 매핑
7) 리스크 훅 설계
- 계정 한도: 주문 수량/가치/손실 제한, 일중·총량 분리
- 마진/레버리지: 요구 증거금 계산, 변동성 급등 시 강화 규칙
- 가격 괴리: 기준가격 대비 편차 허용폭, 시장 급변 서킷 브레이커
- Fat-finger: 비정상 대량/가격 주문 차단, 2차 확인
8) 운영/모니터링
- 대시보드: p95/99 지연, 거부율, 재시도/타임아웃, 라우팅 성공률
- 알림: 지연 급증/에러 스파이크/브로커 세션 다운 실시간 경보
- 런북: 장애 시 수동 클로즈/일괄취소 절차, 백업 라우트 전환
9) 보안·컴플라이언스
- 전송 보안: TLS 1.2+, 키/비밀 KMS 관리, mTLS(필요 시)
- 권한: RBAC, IP 화이트리스트(백오피스), 2FA
- 감사: 불변 로그/서명, 변경 이력 추적, 보존 기간 정책
10) 도입 체크리스트
- 주문 상태머신이 원자적이고 복구 가능한가?
- 브로커 장애 시 자동 재라우팅/일괄취소가 가능한가?
- 리스크 훅이 사전(pre-trade)·중간(in-trade)·사후(post-trade)에 적용되는가?
- p95/99 지연, 에러율, 세션 상태를 실시간 관측하는가?
- FIX/WS 세션 리커버리와 아이디엠포턴스가 구현되어 있는가?
FAQ
- OMS 없이 바로 거래소 API로 붙으면 안 되나요?
- 가능하지만 대규모 운영에선 주문 상태 일관성/재시도/로그 감사가 어려워 사고 위험이 큽니다. OMS는 이를 표준화합니다.
- EMS와 무엇이 다르죠?
- EMS는 집행 전략에 초점을 둔 상위 계층이고, OMS는 주문 수명주기를 책임지는 기반입니다.
- 권장 지연 목표는?
- 선물/파생 환경 기준 ingress→ack p95 80ms 이하를 권장합니다. 시장/인프라에 따라 조정하세요.
결론·CTA
안정적인 OMS는 확장성과 신뢰의 전제 조건입니다. 현재 시스템의 지연·아이디엠포턴스·리스크 훅 구현을 점검해 보세요. 구체적 진단이 필요하다면 문의로 무상 30분 컨설팅을 요청하실 수 있습니다.
※ 본 가이드는 해외선물솔루션/코인선물 솔루션을 검토하는 기획·기술·운영 담당자를 위한 참고 자료입니다. 실제 규제/보안 준수는 귀사 정책과 법률 자문에 따라 확정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