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물솔루션

해외선물솔루션 완전 가이드: 제작·임대·분양 무엇이 맞을까

2025.06.02 · 선물솔루션

요약: 해외선물솔루션은 제작(커스텀)·임대(SaaS)·분양(라이선스) 3가지 모델로 도입할 수 있습니다. 초기 비용·개발 통제권·출시 속도·보안·운영 부담이 서로 달라, 조직의 목표(시간·예산·스케일)에 맞춰 선택해야 합니다. 본 가이드는 HTS·MTS·WTS 구성과 OMS/리스크·시세엔진의 핵심을 짚고, TCO(총소유비용) 비교표와 SLA·보안·규제 체크리스트를 제공합니다.

1) 해외선물솔루션 구조 한눈에 보기

  • 클라이언트: HTS(데스크톱), MTS(모바일), WTS(웹). 주문/체결, 호가/차트, 알림, 워치리스트, 포지션/잔고.
  • 게이트웨이·OMS: 주문 수신·검증·체결 라우팅·리트라이·리스크 훅(Hedge/Limit/MaxQty)·감사로그.
  • 리스크 엔진: 레버리지·마진·포지션 한도·강제청산·가격 급변 보호(서킷브레이커)·세이프티 체커.
  • 시세 엔진: 멀티소스 시세 취합(Level 1/2)·재연결·타임 스탬프 표준화·지연(p95/p99) 모니터링.
  • 백오피스: 계정·권한(RBAC)·정산·수수료·리포트·알림·감사/보안 로그.
  • 보안·인프라: TLS/HTTPS, WAF/DDoS, 2FA, 키 관리(KMS), 로깅/모니터링, 블루-그린/롤링 배포.

2) 도입모델 비교 — 제작·임대·분양

항목 제작(커스텀) 임대(SaaS) 분양(라이선스)
출시 속도 중(3~6개월) 빠름(수주~1개월) 보통(1~3개월)
초기 비용 높음(개발/설계) 낮음(구독/세팅) 중간(라이선스)
커스터마이즈 최대(소스/설계 통제) 제한적(설정/테마 중심) 높음(모듈 단위 수정)
운영 부담 높음(자체 DevOps 필요) 낮음(공급사 운영) 중간(업데이트 협업)
장기 비용(TCO) 규모 커질수록 유리 사용량 따라 증가 균형(초기+유지보수)
보안·규제 대응 내부정책 최적화 가능 표준 가이드 제공 계약별 옵션 설정

결론: 빠른 론칭은 임대, 브랜드/기능 차별화는 제작, 속도×커스텀 균형은 분양.

3) HTS·MTS·WTS 선택 가이드

  • HTS(데스크톱): 단축키/멀티모니터/호가창/스프레드뷰 등 속도와 시야가 핵심. 프로/기관형.
  • MTS(모바일): 알림·간편주문·지갑/입출금 확인. 리텐션즉시성 강화.
  • WTS(웹): 접근성·가벼운 온보딩·홍보 랜딩과 궁합. 초기 유입경험 제공에 유리.

권장 로드맵: WTS(체험) → MTS(활성 사용자) → HTS(헤비/프로) 순으로 확장하면 위험/비용을 분산할 수 있습니다.

4) 코어 모듈 체크리스트

  1. OMS: 주문 유효성·레이트리밋·리트라이·일괄 취소·아이들 타임아웃. p95 지연/에러율 대시보드.
  2. 리스크: 레버리지/마진·최대 주문수량·포지션 한도·강제청산·가격 급변 보호·핀거가드(Fat-finger).
  3. 시세 엔진: 멀티피드 합성·오차/드롭 탐지·재연결·타임싱크(NTP/PTP)·샘플링/캐시.
  4. 알림/이벤트: 체결·청산·증거금 경고·정책 변경·유지보수 공지.
  5. 백오피스: 권한/RBAC·정산/수수료·리포트·KPI·감사로그(불변 저장).

5) TCO(12/36개월) 관점의 의사결정

아래는 도입규모(사용자 5k/활성 동시 500)를 가정한 예시 비교입니다. 실제 견적은 요구사항·거래량·규제 수준에 따라 달라집니다.

비용항목 제작 임대 분양
초기 구축 높음 낮음 중간
월 구독/유지 중간(인력+클라우드) 중~높음(사용량 종속) 중간(업데이트 계약)
개발 통제권 최대 제한 높음
출시/확장 리스크 중(프로젝트 관리) 낮음(레디-메이드) 중(커스터마이즈 범위)

의사결정 팁: 12개월 내 빠른 매출이 목표라면 임대 → 시장 적합성 검증 후 분양/제작으로 확장하는 단계적 접근이 안전합니다.

6) SLA·보안·규제 체크리스트

  • SLA: 가동률(예: 99.9%)·지연 지표(p95/99)·RTO/RPO·응답/복구 시간·패치 주기·연락 채널.
  • 보안: TLS 1.2+·2FA·IP 화이트리스트·WAF/DDoS·비밀관리(KMS)·감사로그 불변 저장·취약점 점검.
  • 개인/거래 데이터: 최소 수집·암호화 저장·권한 분리(RBAC)·접근통제·로그 보존 정책.
  • 규제/준수: 지역 요건(KYC/AML/기록보존)과 광고/커뮤니케이션 가이드 준수.

7) 단계별 론칭 로드맵(예시 8주)

  1. 1주차: 요구사항 명세(상품, 레버리지, 수수료, 마켓데이터, 지표, 보고서).
  2. 2~3주차: 프로토타입(WTS)·디자인 시스템·API 스펙 얼라인.
  3. 4~5주차: OMS/리스크 파라미터 세팅·알림/정책 화면·백오피스 MVP.
  4. 6주차: p95/99 지연 테스트·장애/리트라이 시나리오·DDoS 모의.
  5. 7주차: 베타(제한 초대)·로그 관찰·UI 미세 튜닝.
  6. 8주차: SLA 확정·오퍼레이션 런북·모니터링 대시보드 공개.

8) UX 원칙 — 사고(에러) 줄이는 화면 설계

  • 한 화면 1목표: 주문/차트/포지션 분리, 단축키는 확인 모드 제공.
  • 보호장치: 가격 괴리·수량 초과·청산 임박 시 경고/재확인.
  • 피드백: 주문 상태(접수/체결/거부) 실시간 토스트·이력 패널.
  • 접근성: 명암비 4.5:1, 폰트 최소 12~13pt, 모바일 터치 44px.

9) 자주 받는 질문(FAQ)

임대·분양·제작 중 무엇이 가장 많이 선택되나요?
초기에는 임대로 빠르게 진입해 시장 적합성을 확인하고, 성장 단계에서 분양/제작으로 전환하는 케이스가 많습니다.
HTS 없이 WTS/MTS만으로 시작해도 되나요?
가능합니다. 초기엔 WTS·MTS로 유입과 리텐션을 확보하고, 프로 유저가 늘면 HTS를 확장하세요.
코인선물 솔루션과의 차이는?
상품/증거금/규제 요건 차이가 있어 리스크·KYC/AML 정책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아키텍처 원칙은 유사합니다.
보안은 누가 책임지나요?
임대는 공급사가 1차 책임, 제작/분양은 공급사+운영사 공동 책임입니다. 계약서에 명확히 규정하세요.

10) 결정 요약 — 이렇게 고르세요

  1. 출시 마감이 임박 → 임대(SaaS)로 MVP 런칭.
  2. 브랜딩/차별화가 핵심 → 제작(커스텀).
  3. 속도와 커스텀의 균형 → 분양(라이선스).

CTA

요건 정의가 끝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문의무상 30분 컨설팅을 요청하세요. 현재 사용 중인 시스템의 지연/안정성 점검 리포트를 제공해 드립니다.

※ 본 문서는 해외선물솔루션·코인선물 솔루션 도입을 검토하는 기획/기술/운영 담당자를 위한 참고 가이드입니다. 실제 계약·규제 대응은 귀사의 법률/보안 정책과 협의해 확정하시기 바랍니다.

해외선물솔루션제작임대분양코인선물 솔루션HTSMTSWTSOMS리스크엔진TCOSLA보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