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물솔루션

HTS·MTS·WTS 차이 한 번에 정리: 트레이딩 단말 선택법

2025.06.10 · 선물솔루션

요약: 속도·시야·단축키가 중요한 프로 환경은 HTS, 리텐션·알림·간편주문이 핵심인 대중 환경은 MTS, 접근성·체험·온보딩이 우선이면 WTS가 적합합니다. 최적의 도입 순서는 WTS(체험)MTS(활성화)HTS(프로)이며, 공통 기반은 OMS/리스크 엔진·시세 엔진·백오피스와의 안정적 연동입니다.

1) 정의 — 세 단말의 역할

  • HTS(Home/High-end Trading System): 데스크톱 전용. 멀티모니터·단축키·호가창/스프레드뷰·DOM, 빠른 체결/청산에 특화.
  • MTS(Mobile Trading System): iOS/Android. 알림·간편주문·포지션/잔고 확인·지갑/입출금·생체인증, 리텐션과 즉시성 강화.
  • WTS(Web Trading System): 브라우저. 설치 없이 체험/온보딩/홍보 랜딩과 궁합, 접근성이 가장 높음.

2) 무엇을 먼저 만들까 — 의사결정 트리

  1. 목표는 유입 확대·온보딩인가? → : WTS 우선 / 아니오: 2번
  2. 활성 사용자 리텐션/알림이 필수인가? → : MTS 우선 / 아니오: 3번
  3. 프로 수준의 체결 속도·단축키가 중요한가? → : HTS 우선 / 아니오: WTS→MTS→HTS 순의 단계적 확장

권장 로드맵: WTS(체험/유입)MTS(알림/재방문)HTS(헤비/프로)

3) 핵심 비교표

항목 HTS MTS WTS
주요 사용자 프로/기관, 고빈도·다계정 대중/액티브 트레이더 체험/초기 유입·경량 사용자
강점 단축키·멀티뷰·저지연 푸시 알림·간편주문·접근성 설치 無·체험/온보딩 최적
약점 배포/업데이트 부담 화면 크기 제약·복잡도 브라우저 제약·리소스 한계
주요 지표 p95 지연·단축키 성공률 DAU/알림 클릭률·잔존율 온보딩 전환·첫 주문율

4) 공통 코어와 연동 포인트

  • OMS/게이트웨이: 주문 유효성·리트라이·레이트리밋·일괄취소·감사로그(불변 저장).
  • 리스크 엔진: 레버리지/마진·포지션/계정 한도·강제청산·가격 급변 보호·Fat-finger 가드.
  • 시세 엔진: 멀티 피드 합성(Level1/2)·타임싱크·재연결·오차/드롭 탐지·캐싱.
  • 백오피스: 계정·권한(RBAC)·정산/수수료·리포트·KPI·이벤트/공지 배포.

5) 성능·지연 목표(권장)

  • HTS: 체결/주문 처리 p95 < 80ms, DOM/호가 업데이트 60Hz 이상, 키 입력→확인 토스트 < 120ms.
  • MTS: 주문완료 피드백 p95 < 200ms, 푸시 수신 < 3s, 주요 화면 LCP < 2.5s.
  • WTS: LCP < 2.5s, INP < 200ms, 웹소켓 재연결 < 1s, 차트 스크롤/줌 프레임 드랍 최소화.

6) UX 원칙 — 사고(에러) 줄이는 설계

  • 한 화면 1목표: 주문·차트·포지션 구분, 멀티뷰는 사용자 정의(HTS).
  • 보호장치: 가격 괴리·수량 초과·청산 임박 시 경고/2차 확인.
  • 피드백: 주문 상태(접수/체결/거부) 실시간 토스트 + 이력 패널.
  • 접근성: 명암비 4.5:1 이상, 폰트 12–13pt+, 모바일 터치 44px.

7) 보안·SLA 체크리스트

  • 전송/인증: TLS 1.2+, 2FA, 지갑/주문 별도 권한, IP 화이트리스트(백오피스).
  • 방어: WAF/DDoS, 비밀관리(KMS), 취약점 점검 주기, 서드파티 SDK 감사.
  • SLA: 가동률(예: 99.9%)·지연 지표(p95/99)·RTO/RPO·패치 주기·알림 채널.

8) 도입 순서(예시 6~8주)

  1. 1주: 요구사항 정리(상품/레버리지/수수료/지표/보고서).
  2. 2~3주: WTS MVP(체험)·디자인 시스템·API 스펙 얼라인.
  3. 4~5주: OMS/리스크 파라미터 세팅·알림/정책 화면·백오피스 기본.
  4. 6주: 부하/지연 시험·장애/리트라이 시나리오·보안 점검.
  5. 7~8주: 베타(제한 초대)→ 피드백 반영 → SLA 확정/운영 런북.

9) 흔한 실패 패턴

  • 초기에 HTS만 집중해 유입/온보딩이 막히는 경우.
  • MTS에서 알림 전략 없이 재방문을 기대하는 경우.
  • WTS를 홍보 랜딩 수준에 멈추고 실주문 플로우를 설계하지 않은 경우.
  • 세 단말 모두에서 보안/권한/RBAC을 일관되게 적용하지 않은 경우.

10) FAQ

HTS 없이 WTS·MTS만으로 시작해도 되나요?
가능합니다. 초기엔 WTS로 유입·체험을, MTS로 알림/리텐션을 확보하고 프로 유저가 늘면 HTS를 확장하세요.
세 단말 UI를 완전히 같게 만드는 게 좋나요?
핵심 용어·주문 흐름은 일관성을 유지하되, 화면 밀도와 상호작용은 각 단말 특성에 맞게 최적화하세요.
코인선물 솔루션과 차이가 있나요?
아키텍처 원칙은 유사하나 상품/증거금/규제 요건이 달라 리스크·KYC/AML·기록 보존 정책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결론·CTA

유입→활성→프로의 순서로 단말 포트폴리오를 확장하면 비용과 리스크를 분산할 수 있습니다. 요건이 확정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문의무상 30분 컨설팅을 요청하세요. 현재 시스템의 지연/안정성 점검 리포트를 제공해 드립니다.

※ 본 가이드는 해외선물솔루션/코인선물 솔루션 도입을 검토하는 기획·기술·운영 담당자를 위한 참고 자료입니다. 실제 계약·규제 대응은 귀사의 법률/보안 정책과 협의해 확정하시기 바랍니다.

해외선물솔루션HTSMTSWTS트레이딩OMS리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