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로 보는 주문 사고(팻핑거) 예방 UX 7가지
요약: 팻핑거(주문 사고)는 속도·포커스·피로가 겹칠 때 주로 발생합니다. 본 문서는 실제 사고 패턴을 바탕으로, 이중확인·한도·포커스·가격보호·롤백·알림·교육 7가지 UX 규범을 제시합니다. 각 항목은 HTS/MTS/WTS 공통으로 적용 가능한 구현 포인트와 체크리스트를 포함합니다.
1) 이중확인 패턴 — 고위험 행위엔 2단계
- 대상: 전량 청산, 포지션 뒤집기, 시장가 대량주문, 계좌 변경 후 최초 주문.
- 방법: 더블 입력, 길게 누르기(800~1200ms), 위험 경고 문구 + 수량/가격 재표시.
- 실수 사례: 단일 키로 전량 청산 가능했으나, 포커스가 다른 종목에 있어 오주문 발생.
- 가이드: 확인창에 상품·수량·가액을 큼직하게 재노출, Enter 자동 포커스 금지.
2) 계좌·수량 한도(Fat-finger Guard)
- 정책: 기준가 대비 허용 편차(%/틱)·최대 수량·일일 손실 한도·레버리지 상한.
- UI: 초과 시 하드 스톱 + 이유 표기(편차 초과, 수량 한도 초과 등), 설정 화면에서 임계치 확인 가능.
- 사례: 쉼표 없는 대량 입력으로 10배 주문 → 편차/수량 한도에서 차단, 로그 남김.
3) 포커스·컨텍스트 잠금
- 규칙: 주문 단축키는 활성 종목/패널에만 작동. 종목 전환 시 1회성 재확인 배너.
- 시각화: 활성 패널 하이라이트, 종목/계좌 표시를 상단 고정(고대비 배지).
- 사례: 다중 차트에서 포커스 이동 후 단축키 실행 → 다른 차트로 주문 들어간 사고 방지.
4) 가격 급변 보호(Price Protection)
- 정책: 단기 변동률/틱 속도 임계치 도달 시 시장가 제한, 지정가만 허용.
- UI: 상단 경고 토스트(호가 지연/급변), 슬리피지 허용폭 프리셋 표기.
- 사례: 뉴스 급등락 구간에서 시장가 누수 체결을 예방.
5) 취소·정정 롤백 및 중복 방지
- 프로토콜: 네트워크 오류 시 재시도→타임아웃→롤백 순, 중복 실행 락과 스피너 표시.
- UI: 테이블에서 다중 선택 작업 시 최종 확인(수량 합산·평균가 표시).
- 사례: 두 번 클릭으로 중복 취소 발생 → 버튼 재활성화 지연으로 차단.
6) 경고/알림 모달리티 전략
- 중요도 레벨링: 정보(배지) < 위험(토스트) < 치명(모달+사운드). 치명은 사용자 액션 필요.
- 항상 보이는 신호: 증거금 임계/호가 지연은 상단 고정 배너+사운드, 모바일은 푸시 병행.
- 사례: 임계 경고를 알림센터에만 쌓아 실시간 대응 실패 → 상단 고정으로 개선.
7) 온보딩·훈련·샌드박스
- 온보딩: 첫 실행 워크스루(키맵·주문 보호장치·가격보호 설명).
- 샌드박스: 실시간 호가/차트가 흐르는 모의 환경에서 키맵 연습, 사고 로그 리플레이.
- 문서화: 변경된 단축키/임계치 릴리즈 노트 + 인앱 공지.
체크리스트
| 항목 | 기준 | 상태 |
|---|---|---|
| 전량/뒤집기 이중확인 | 더블 입력 또는 길게 누르기 | □ |
| 수량·편차 한도 | 초과 시 하드 스톱 + 사유 표기 | □ |
| 포커스 잠금 | 활성 종목에만 단축키 유효 | □ |
| 급변 보호 | 시장가 제한 / 슬리피지 프리셋 | □ |
| 중복 실행 방지 | 버튼 락·재시도/롤백 플로우 | □ |
| 임계 경고 채널 | 상단 고정 + 사운드/푸시 | □ |
| 샌드박스/온보딩 | 키맵 훈련/사고 리플레이 | □ |
FAQ
- 전량 청산 버튼을 없애면 되지 않나요?
- 프로 워크플로에서 필수일 수 있습니다. 대신 이중확인·색상 경계·길게 누르기를 적용하세요.
- 시장가를 막으면 체결 기회가 줄지 않나요?
- 급변 구간에서만 제한하고, 평상시엔 슬리피지 한도 내 허용하는 조건부 정책이 현실적입니다.
- MTS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하나요?
- 모바일은 오작동 위험이 더 커 길게 누르기·햅틱을 권장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