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선물 사용자 유지율을 높이는 알림/위험경고 UX
요약: 코인선물의 유지율(리텐션)을 높이려면 알림은 빠르고 정확하며 타겟팅되어야 합니다. 본 가이드는 신호→평가→결정→전달 파이프라인, 채널별 전략(푸시/인앱/웹소켓/이메일/SMS), 위험경고 UX 패턴과 소음 관리, A/B 실험과 KPI까지 한 번에 정리합니다.
1) 알림 유형 분류
- 거래 알림: 주문 접수/체결/거부, 포지션 변동, PnL 임계 도달
- 위험 경고: 증거금(MMR) 임박, 강제청산 위험, 급변동·슬리피지 경고
- 시스템: 점검/배포 공지, 지연(p95/p99) 상승, 채널 전환 안내
- 교육/온보딩: 첫 입금/첫 주문 튜토리얼, 레버리지 변경 가이드
- 마케팅(선택): 수수료 이벤트, 추천 보너스(거래 연관성 있을 때만)
2) 설계 원칙 6
- 신뢰성: 멱등키로 중복 방지, 재시도·백오프, 실패 시 대체 채널
- 즉시성: OMS/리스크 이벤트와 실시간 연동(웹소켓 우선, 푸시 보조)
- 맥락성: 포지션·레버리지·계정 상태 기반 개인화
- 소음 관리: 레이트리밋·그룹핑·요약 배치(분 단위)
- 명확성: 행동 버튼(입금·레버리지 조정·포지션 축소) 동반
- 투명성: 알림 히스토리와 설정(구독 관리) 제공
3) 파이프라인: 신호→평가→결정→전달
- 신호: OMS/리스크·시세 엔진 이벤트(체결, 마진율, 변동성)
- 평가: 규칙 엔진(임계값·쿨다운·사용자 선호), 다중 조건 결합
- 결정: 심각도 매핑(Info/Warning/Critical)과 채널 선택
- 전달: WS 토스트→인앱 배너→푸시→SMS/이메일(순차)
권장: 위험 임계는 단계화(예: 마진율 60%/40%/20%)하여 조기 경보→행동 유도→최종 경고로 점진 강화.
4) 채널별 전략
- 웹소켓 토스트: 수초 단위 피드백. 주문/체결·마진율 변화에 최우선.
- 인앱 배너/모달: 위험 경고·정책 변경. 즉시 조치 버튼 필수.
- 푸시: 앱 복귀 유도. 심각도 중~상만, 심야 방해 금지 옵션.
- SMS: 청산 임박 등 크리티컬 백업 채널(사용자 동의 기반).
- 이메일: 요약 리포트(일/주간), 규정 변경·점검 공지.
5) 위험경고 UX 패턴
- 레버리지 변경: 변경 전 추정 청산가·필요 증거금·슬리피지 안내 → 확인 체크박스
- 청산 임박: 마진율 임계 도달 시 단일 행동(추가 증거금·포지션 축소) 버튼 노출
- 증거금 부족: 자동 계산된 최소 입금액 제시, 원클릭 입금/전환
- 급변동: 변동성 급등 시 주문 전 경고 배지(시장가/스탑 주문 전환 제안)
6) 소음 관리(Noise Control)
- 그룹핑: 동일 유형 알림을 1~3분 창으로 묶어 요약
- 쿨다운: 사용자·자산·이벤트 키별 최소 간격 설정
- 디바운스: 임계 진동 구간에서 잦은 온/오프를 완화
- 우선순위: 주문/청산 > 마진 > 가격 신호 > 마케팅
7) KPI와 A/B 실험
- 핵심 KPI: D1/D7/D30 잔존, 재방문 간격, 위험 경고 후 조치율, 청산률 감소
- 실험 변수: 임계값, 카피/톤, 버튼 수, 채널 조합, 시간대
- 분석: 코호트(레버리지/경험 수준), 오탐/미탐 비율, 이탈 전 마지막 알림
8) 데이터 모델(요약)
Alert(id, user_id, type, severity, asset, position_id,
threshold, observed_value, action_suggested,
channel, status, created_at)
모든 알림은 멱등키(user_id+type+window)로 중복을 차단하고, 상관 키로 OMS 이벤트와 연결해 감사 가능성을 확보합니다.
9) 설정 체크리스트
- 마진율 경고 단계(예: 60/40/20%), 레버리지 상한, 슬리피지 한도
- 채널별 쿨다운·조용한 시간(Quiet Hours)·지역별 SMS 정책
- 푸시 토큰/구독 동기화, 로그 보존, 취소선택(opt-out) UI
10) 흔한 실패 패턴
- 모든 이벤트를 푸시로 발송 → 피로·차단 증가
- 알림에 행동 경로 부재 → 조치율 저하
- 임계값 미세 진동으로 연속 경고 → 소음 누적
- 체결/마진 알림 지연 → 신뢰 상실
FAQ
- 위험 경고는 강하게, 자주 보내야 할까요?
- 강도는 단계적으로, 빈도는 소음 관리로 제한하세요. 조치율/이탈률을 함께 모니터링해야 최적 지점을 찾을 수 있습니다.
- 푸시와 웹소켓 중 무엇이 우선인가요?
- 실시간 조치는 웹소켓(인앱 토스트) 우선, 앱 이탈 상태 복귀는 푸시로 보완합니다.
- 법·규제 메시지는 어디에 넣나요?
- 약관·위험고지 수신 동의는 온보딩에 포함하고, 중요 변경은 인앱 배너+이메일로 이중 고지하세요.
CTA
현재 알림/위험경고 설정을 무료로 점검해 드립니다. ‘임계값·채널·카피’ 튜닝으로 D7 잔존 +3~5%p 개선 사례를 공유드립니다. 상세는 문의로 요청하세요.
※ 본 문서는 합법적 서비스의 사용자 보호·경험 개선을 위한 일반 가이드입니다. 실제 운영 정책은 귀사의 규정·지역 요건을 우선합니다.
